IT 프로그래밍/AI
seaborn의 Jointplot 코드 사용
기술1
2024. 9. 8. 17:12
판다스 이용해 랜덤 데이터 만들기
pd.DataFrame(np.random.randn(500,2))
이렇게 랜덤의 데이터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럼 이 데이터를 df라고 저장을 해주겠습니다.
df = pd.DataFrame(np.random.randn(500,2), columns=['1', '2'])
df
x = 1, y = 2인 데이터 relplot 만들기
sns.relplot(x='1',y='2', data=df)
이렇게 분포도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relplot 즉 관계형 그래프를 이용했지만 이번에는 합치는 것을 목표이기 때문에 jointplot을 사용해보겠습니다.
Jointplot 사용
sns.jointplot(x='1',y='2',data=df)
이렇게 면 분포가 가운데의 종모양으로 생겼구나, 정규화하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도 kind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육각모양인 hax를 넣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