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프로그래밍/파이썬
[파이썬] 내장함수
기술1
2025. 3. 3. 00:55
내장함수 :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함수, 파이썬에서 바로 사용 가능
외장함수 : 파이썬에서 함께 제공되는 함수, import후 사용가능
help(함수명) #내장함수 사용법에 대한 도움말 함수
help(_builtins_) #내장함수 종류 보기
몫과 나머지 리턴 divmod()
hex()
10진수를 16진수로 바꿔주는 함수 hex입니다. c++만 사용하다가 hex를 딱 봤을 때 파이썬이 왜 쉬운 언어인지 느껴지네요.
자료형을 문자형으로 str(x)
객체의 메소드, 객체의 함수 dir(a)
dir([123]) #리스트 객체의 함수와 변수를 보여줍니다.
dir(5) #정수 객체의 함수와 변수를 보여줍니다.
a의 자식클래스 여부 판단 isinstance(a, class)
아스키코드 -> 문자 chr(ASCII), 문자-> 아스키코드 ord(c)
아스키 코드를 문자로 chr, 문자를 아스키코드로 ord 입니다.
반복가능한 객체의 자료 전체 요소 참 확인 all(a)
반복가능한 객체의 자료 전체 요소 참 확인 any()
any(iterable)은 반복 가능한(iterable) 객체 내에 하나라도 참(True)인 값이 있으면 True를 반환하고, 모두 거짓(False)이면 False를 반환하는 함수야.
파이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값들이 거짓(False)으로 취급
- 0 (정수 0, 부동소수점 0.0, 복소수 0j)
- '' (빈 문자열 "")
- [] (빈 리스트)
- {} (빈 딕셔너리)
- () (빈 튜플)
- set() (빈 집합)
- None
- False
객체의 전체 개수 확인 len(a)
리스트, 튜플 형태 반환, 최대 최소, 정렬
객체 요소 간의 짝 구성 zip(a, ...)
enumerate(iterable)은 반복 가능한 객체(리스트, 문자열 등)에 대해 (인덱스, 값) 형태의 튜플을 생성하는 함수
조건에 알맞은 객체 반환 filter(def, a)
객체의 함수 실행 결과 반환 map(def, a)
- c(a) 함수는 입력된 숫자를 제곱(a * a)하여 반환하는 함수.
- map(c, [1, 2, 3, 4, 5])를 사용하면 각 요소에 c() 함수를 적용함.
- 즉, [1, 2, 3, 4, 5]의 각 숫자를 제곱해서 [1, 4, 9, 16, 25]가 됨.
숫자 범위의 객체 생성 range()
range(1, 2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