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프로그래밍/파이썬

[파이썬] 외장함수

기술1 2025. 3. 3. 01:23

외장함수, 내장 라이브러리, 표준 라이브러리 = import 하여 사용

 

파일과 디렉터리 접근 : sys, os

데이터 파일 저장 : pickle

수학 및 랜덤 : math, random

인터넷 엑세스 : webbrowser

날짜와 시간 : time, datetime

 

 

 

프로그램 운영체제 제어하기

프로그램에서 운영체제를 제어하기

운영체제(OS)와 상호작용하는 기능을 사용할 때는 os 모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os 모듈을 사용하면 디렉터리 및 파일을 관리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파일 이름 변경, 파일 삭제, 디렉터리 삭제 방법을 알려주겠습니다.


1.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및 폴더 목록 확인

먼저, os.listdir()을 사용하여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과 폴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파일 이름 변경하기

os.rename(기존 파일명, 새로운 파일명)을 사용하면 파일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파일 삭제하기

파일을 삭제하려면 os.remove(파일명)을 사용합니다. 주의할 점은, 삭제된 파일은 복구할 수 없으므로 조심해서 실행해야 합니다.

4. 디렉터리 삭제하기

디렉터리를 삭제하려면 os.rmdir(디렉터리명)을 사용합니다. 단, 디렉터리가 비어 있어야 삭제할 수 있습니다.

import os

#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및 폴더 목록 확인
print(os.listdir())

# 파일 이름 변경
os.rename('test.py', 'os_test_os.py')

# 변경된 파일 목록 확인
print(os.listdir())

# 파일 삭제
os.remove('os_test_os.py')

# 디렉터리 삭제
os.rmdir('Test Folder')

# 최종 디렉터리 목록 확인
print(os.listdir())

 

파이썬 객체를 그대로 저장하는 pickle

자료형(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을 파일에 저장하면 발생하는 일

 

pickle 모듈이란?

  • pickle은 파이썬 객체(딕셔너리, 리스트, 집합 등)를 파일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다시 불러올 때 사용하는 모듈입니다.
  • 저장된 파일은 바이너리(.bin) 형식으로 저장되며, 사람이 직접 읽을 수 있는 텍스트 형식이 아닙니다.

 

  • a = {1: 'a', 2: 'b', 3: 'c'} → 딕셔너리 생성
  • b = {1, 2, 3, 4, 5} → 집합(set) 생성
  • open('picklefile.bin', 'wb')
    • wb (write binary) 모드로 picklefile.bin 파일을 바이너리 쓰기 모드로 엶.
  • pickle.dump(a, f)
    • 파일 f에 딕셔너리 a를 저장.
  • pickle.dump(b, f)
    • 파일 f에 집합 b를 저장.
  • pickle.dump(객체, 파일) → 객체를 파일에 저장.
  • pickle.load(파일) → 저장된 객체를 불러오기.
  • 파일은 반드시 wb(쓰기) / rb(읽기) 모드로 열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