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 <iostream>
#include <cmath>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double x;
tryAgain : //label
cout << "Enter a non-negative number" << endl;
cin >> x;
if (x < 0.0)
goto tryAgain;
cout << sqrt(x) << endl;
return 0;
}
이렇게 goto를 붙여주면 tryAgain으로 가게 됩니다. 이런식으로 계속해서 반복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만약에 음수가 아닌 숫자를 입력한다면 계속해서 tryAgain으로 가게 됩니다.
물론 요즘 goto를 잘 쓰지는 않습니다. 이 개념이 어떻게 이후의 반복문과 연결이 되는지 아셔야합니다.
반복문 while
int main()
{
cout << "While-loop test" << endl;
int count = 0;
while (count < 10)
{
cout << count << endl;
++count;
}
return 0;
}
while문은 이런 식으로 사용해주면 됩니다.
while문을 사용할 때는 count를 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count의 증가를 확인해 조건을 넣어줘서 무한히 반복되는 것을 막고자 하는 것입니다.
int count를 밖에다 놓는 이유는 안에다 놓으면 계속해서 0이 출력되기 때문입니다. int count = 0으로 해놨기 때문입니다. 만약 안에다 쓰고 싶으면 static int count 이런 식으로 쓰면 되지만 그럴 필요는 굳이 없습니다.
그리고 while 함수를 멈추고 싶을 때는 break를 사용하면 됩니다.
if (count == 10) break;
이런식으로 break;문을 걸어주시면 10에서는 멈춰서 while문을 나와버리게 됩니다.
이렇게 조건을 count 변수가 밖에 있고 if ~ 걸어주게 되어 있으니 이 3가지 요소를 합친 것이 for문입니다. while문을 더 편안하게 사용하고자 만든 것이 for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IT 프로그래밍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배시 6.5] 정적 다차원 배열 (0) | 2024.03.25 |
---|---|
[따배시 5.7 ~ 5.8] 반복문 for, break, continue (0) | 2024.03.23 |
[4.8 ~ 5.0]영역 제한 열거형(열거형 클래스) ,자료형에게 가명 붙여주기, 구조체 (0) | 2024.03.22 |
C-string과 string의 차이 (0) | 2024.03.18 |
[따배시 2.6] 논리 연산자 Logical Operators (0)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