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85

[컴퓨터네트워크 part3-1] 인터넷에서의 지연과 경로

Traceroute program경로를 파악하면서 지연을 측정하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Traceroute라고 합니다. traceroute가 동작하는 원리를 설명하자면 목적지로 여러번의 패킷을 전송합니다. 각각의 패킷을 따라서 중간 경로에서 라우터가 출발치로 응답을 보냄으로써 도착하는 시간을 측정하면 중간 경로에서 지연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패킷은 첫 번째 라우터에 도착하고 출발지쪽으로 응답을 보냅니다. 그러면 출발지는 자신이 패킷을 보냈을 때부터 응답했을 때 시간을 측정하면 그곳에서의 지연이 됩니다. 지연을 조금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세 개의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됩니다. 첫 번째 세개의 패킷을 전달하면 경로상에서의 첫 번째 라우터가 출발지로 응답을 되돌려 보냅니다. 그리고 출발지..

[자료구조] c++ 주소록 프로그램

C++의 단어 쪼개기#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string line; while (getline(cin, line)) { cout tokens = split_line(line, ' '); for (string str : tokens) cout split_line(string& line, char delimiter) { vector tokens; stringstream sstream(line); string str; while (getline(sstream, str, delimiter)) tokens.push_back(str); return tokens;}string vector를 만들어서 저장을 한..

vector에서 원소의 삽입과 삭제

vector 원소 삽입 삭제vector의 맨 뒤에 원소를 삽입할 때는 push_back을 사용합니다. 맨 마지막 원소를 삭제할 때는 pop_back을 사용합니다. 그럼 맨 앞이나 혹은 가운데 삽입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 vector sentence{"how", "is", "programming"}; //First try sentence[1] = "fun"; for (auto word : sentence) cout sentence2{ "how", "is", "programming" }; sentence.at(3) = sentence2.at(2); //인덱스 연산자 [] 대신 at을 쓰면 ind..

쉘 확장

쉘 확장사용자가 입력한 명령행을 리눅스의 쉘이 해석하는 과정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행은 쉘 확장 과정을 거쳐 쉘에 의해 실행됩니다. $cd; touch test42 && echo it worked || echo it failed이런 식으로 사용됩니다. bash리눅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셀로 기존의 sh에서 csh와 ksh의 장점을 추가한 것입니다.  명령 인자(command argument)$echo Hello world!echo명령이 사용된 예시로 인자로 전달되는 텍스트를 화면에 출력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인자들의 공백문자는 모두 제거되며 따음표 또는 쌍따음표로 묶인 문자열은 단일한 인자로 처리되며 내부의 공백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이렇게 -e를 주고 하면 \n을 인식해서 처리해주는 모습을 볼 ..

Linux 파일

리눅스는 파일명에서 대소문자를 구분하며 디렉토리도 파일의 한 종류로 보고 하드웨어 장치도 파일처럼 다룰 수 있습니다.  파일 관리 명령file파일의 종류를 알려줍니다. touch파일의 시간 속성을 변경합니다. 존재하지 않는 파일에 대해서는 empty를 생성합니다. rmrm-i : 각 파일에 대해 대화형으로 사용자에게 묻고 파일 삭제를 수행rm-rf : -r은 recursive하게 하위 디렉토리들도 삭제하라는 의미, -f는 디렉토리 내에 파일이 존재하더라도 삭제cpcp-r : recursive(재귀적으로) 하위 디렉토리를 그 안에 파일도 복사cp-i : 대화형으로 복사 실행mv파일을 이동합니다.rename정규식을 사용하여 파일 이름을 변경 가능합니다. 리눅스 실습시간을 바꿔주는 함수지만 파일이 존재하지 않..

리눅스 ls 명령, 디렉토리 추가 및 삭제 명령

ls 명령디렉토리의 내용을 보여주는 명령입니다. ls-a : 감춰진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을 보여줍니다.ls -l : 각 파일의 정보를 상세하게 보여줍니다.. 과 .. 은 항상 존재하는 파일입니다.  디렉토리 생성 및 삭제mkdirmake directory의 약자입니다. 주어진 이름으로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mkdir -p는 부모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rmdir주어진 이름으로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remove) 의 약자입니다.

리눅스의 구성, 파일구조, 관련 명령어

커널응용 프로그램쉘(The Shell)X windows system Operating system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커널입니다. 핸들링 파일, 디스크, 네트워킹 등 다른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인데요. 그 이후 문서작성이나 웹브라우징, 오디오, 비디오, 프로그래밍, 문서 같은 것을 publishing이나 암호화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런 응용프로그램 중에서 독특한 것이 있는데 이것의 이름은 Shell입니다. 이는 command형식으로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윈도우를 사용할 때는 마우스나 같은 그래픽이 된 것으로 사용했습니다. X vindows system으로 GUI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리눅스에서는 KDE와 GNOME이라는 패키지가 있습니다.  리눅스는 익숙하게 ..

[컴퓨터네트워크] 프로토콜, 인터넷 서비스 구조, 엑세스 물리적 매체

프로토콜실생활에서도 프로토콜은 존재하는데요. 사람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하는 이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만약 시간을 모르고 있을 때 옆에 있는 사람에게 시간을 물어보는 것 이것도 프로토콜입니다. 그리고 수업에서 질문을 하는 것도 하나의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 상에서 프로토콜은 사람이 아닌 컴퓨터들 간의 상호작용입니다. 즉 인터넷에서의 모든 통신 행위는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가 됩니다.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개체들간에 송수신되는 메세지들의 포맷과 순서를 정의하고, 메세지를 전송하고 수신할 때 해야 할 행동들을 정의합니다. 인터넷 구조 설명Network edge(네트워크 가장자리)호스트(hosts): client and servers를 네트워크 가장자리라고 합니다. 이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네트워크] 인터넷의 구성요소, 서비스적 측면

인터넷의 구성요소적 측면구성 요소적 측면수십억 개의 연결된 컴퓨팅 장치가 있습니다. 호스트는 종단 시스템이며 인터넷의 가장자리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앱입니다.  패킷 스위치패킷을 발송 (forward) 패킷은 데이터의 조각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에서 전달할 때, 패킷이라는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서 전달합니다. 패킷 스위치로 Router나 Switches 등이 존재합니다.  통신링크 유선 매체와 무선 매체가 있습니다. 유선의 링크가 있고 무선의 링크가 있는데 bandwidth라는 전송률이 있습니다.  네트워크인터넷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개념이 인터넷은 네트워크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여러개의 네트워크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장치, 라우터, 링크의 모임이 됩니다. 이 네트워크는 하나의 조직에 의해서 관리가 됩니다..

folium을 활용한 지도 그리기

파이썬의 생태계의 강점인 데이터와 Leaflet.js 라이브러리를 통해 매핑 강점을 토대로 제작한 것이 fodium입니다.  이번에도 colab을 통해 실행하겠습니다.!pip install folium import folium import folium을 해주고 folium.Map(location=[37.5,126])이렇게 map을 출력해줍니다. 경도와 위도로 좌표를 찾아주면 됩니다. 구글 맵에서도 쉽게 경도와 위도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그림을 그리고 싶다 변수로 저장을 해주면 됩니다.m = folium.Map(location=[37.5,126])m.save('index.html')m = folium.Map(location=[37.5,126], zoom_start=10)m  import fol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