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76

말레이시아 신경제정책(NEP) 와 비전2020(Vision2020) 정리

말레이시아 NEP 정책이란? 말레이시아는 영국의 식민지배를 받았던 국가였으며 인구의 53%는 말레이족, 나머지는 중국, 인도계 등 다양한 토착민들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입니다. 그렇다 보니 일부 지역 별로 인종의 특색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는데요. 말레이시아는 경제적으로는 화교 즉 중국인들에게 의존하면서 정치적으로는 말레이시아 인들이 장악하며 그렇다 할 갈등 없이 지내던 와중 1969년 반화교 폭동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NEP라는 정책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NEP는 New Economic Policy로 번역하면 신경제정책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에는 말레이시아인들에게 특혜를 주는 내용이 많이 있었는데요. 기본의 목적은 인종의 부의 격차 및 여러 사회 문제를 평등하게 만들려고 한 것이지만 말레이..

국제관계분석 2022.12.09

차문화의 이동 : 홍차 확산 배경과 아편전쟁 아삼차

우리가 현재 즐겨 먹는 차, 이것은 어디에서 유래되었을까요? 동양에서 차가 유래되었으며 이것이 서양에 퍼지면서 동양의 특산품으로 인식되어 유럽의 귀족들이 자신의 부를 상징하기 위해서 이 차를 즐겨 마셨는데요. 그 배경은 기원전 2700년 경부터 중국에서 차를 마시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찻잎은 몸을 정화시키고 잠을 깨워주기 때문에 불교의 승려들이 즐겨 마시다가 중국에서 전역으로 퍼지게 되었습니다. 대항해 시대 때 차 문화의 전파 과정 15세기 말, 신대륙이 발견 되면서 본격적으로 대항해시대가 열리게 되었습니다. 포르투갈과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여러 나라들은 신대륙 뿐만 아니라 동양까지 뻗어나가 교역을 하게 되었는데요. 항로를 개척하면서 동양 무역은 이전에는 실크로드로만 가능했던 향신료와 차, 비단, 도자기..

국제관계분석 2022.12.08

1MDB 스캔들 말레이시아 나집 라작 총리 부패 정리

1MDB 스캔들이란? 1MDB란 1 (Malaysia Development Berhad) 말레이시아 정부 보증 채권을 의미합니다. 2009년 2월 설립되었으며 해당 펀드는 외국인의 직접 투자를 증진시키며 여러 글로벌 파트너쉽을 맺으면서 순식간에 세계로 퍼져 나갔습니다. 정부 보증 채권이다 보니 안정성이 보장된다고 믿어서 많은 투자자들이 해당 채권을 사들였습니다. 하지만 해당 채권은 부패에 이용되면서 많은 돈을 나집 전 총리가 빼돌렸습니다 그 금액만 수백억달러에 이르면서 상상을 초월하는 금액을 골드만삭스 관계자와 함께 빼돌리면서 큰 논란이 된 사건이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약 7조에 가까운 금액의 채권 발행을 대행했으며 이로 인해 7천억원의 수수료를 챙겼습니다. 여기서 개입된 인..

국제관계분석 2022.12.08

멕시코 토르티야 위기 원인 무역 자유화의 단점

멕시코에는 토르티야 라는 음식이 있습니다. 이 음식이 NAFTA 체결 이후 옥수수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가격이 급등하면서 농민들이 시위를 했습니다. 왜 멕시코에서는 이렇게 가격이 안정되지 못하고 치솟는 사태가 벌어진걸까요? 이 의문점에서는 농업 부분에서 NAFTA 체결로 인해서 무역이 자유화되면서 멕시코의 식량 안보가 위태로워졌다는 분석이 주류를 차지했습니다. 무역 자유화를 위해서 농업의 생산, 소비에 따른 기존의 국가의 역할이 축소됨에 따라 영세 농업을 보호할 수 없게 되었고 이는 멕시코에 극빈층을 낳으며 시위가 이어지도록 야기했습니다. 멕시코 토르티야 위기 원인 토르티야 위기는 De la Madrid 정권 하에서 시행된 NAFTA 체결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NAFTA가 출범됨에 따라 자유 무역..

국제관계분석 2022.12.05

아프리카 농업 해체 : 녹색혁명 문제점 및 빈곤의 해결 방법

녹색혁명은 미국과 선진국 주도로 실시된 농업의 공업화이다. 대량생산을 목표로 두고 대규모의 농지에 농업을 하면서 거대한 수확량을 늘렸다. 하지만 여전히 빈곤은 존재하고 오히려 이 녹색혁명으로 인해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번에는 아프리카가 농업이 해체된 이유와 녹색혁명의 문제점에 대해 말해보고자 한다. 아프리카 농업 해체 원인 허약한 거버넌스 농업기술의 부족 및 질병의 확산 세계은행 등 다양한 국제 기구의 상업에 초점을 둔 식량 발전 아프리카는 식민지 지배 이후 1950년대 부터 독립국으로 성장을 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원조를 받고 있지만 여전히 가난한 나라로 속한다. 이들은 왜 그런 것일까? 식민지 독립 당시에는 아프리카의 식량 공급 수준은 좋았다. 1970년대 사이에 연평균 140만톤의 식량..

국제관계분석 2022.11.16

워싱턴 컨센서스 체제의 비판과 영향력 녹색혁명 문제점

녹색혁명의 문제 미국 등 주류 국가들은 녹색혁명을 통해 식량을 대량생산에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지금도 여전히 빈곤과 기아는 그대로입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생산량은 많아졌지만 그것이 개발도상국에게 또 다른 문제를 불러들였습니다. 바로 개발도상국의 국내 농업에 대한 경쟁력이 없어져 해외 원조에 의존할 수 밖에 없게 된 것입니다. 가격 방어를 위해 글로벌 식량 기업들은 보조금, 관세, 가격지지 정책 등으로 쿼터제를 결합해서 식량과 원조를 실시했으며 이는 남반구 국가에 식량 원조가 도달되게 되었지만 이런 보조금 및 관세 철폐 등 생산금액과 비슷한 농산품의 가격으로 해당 나라의 농업인은 이런 해외 농산품에 경쟁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국내 농부들이 없어지고 로컬 푸드 생산이 급감함에 따라 먹거리를 해외 글로벌..

국제관계분석 2022.11.14